Giter Site home page Giter Site logo

femiwiki / docker-mediawiki Goto Github PK

View Code? Open in Web Editor NEW
33.0 33.0 7.0 1.72 MB

:whale: Dockerized Femiwiki's mediawiki server

License: Other

PHP 68.96% HTML 0.28% Dockerfile 15.16% Shell 4.67% Ruby 7.69% JavaScript 3.25%
docker-compose docker-image server wiki

docker-mediawiki's Introduction

페미위키 깃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페미위키는 주류 위키들의 남성 중심적이고 여성 혐오적인 정보에 반대하여 약자, 소수자를 위해 만들어진 여성주의 정보 집합체입니다.

페미위키는 모든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있으며, 이슈트래커와 대화공간도 공개하고 있어 페미위키 구성원이 아닌 사람도 페미위키 개발에 쉽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페미위키에 이슈나 버그, 원하시는 건의사항이 있으실 경우 언제든지 편하게 이슈를 남겨주세요.

 

페미위키 기술 개요

페미위키는 AWS를 사용하고있으며, Terraform을 사용해 선언적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관리하고있습니다. 페미위키에선 Docker 컨테이너를 사용해 서비스들을 배포하고 있으며, Github Container registry에서 누구나 페미위키 컨테이너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페미위키는 미디어위키 엔진을 사용하고 있고, FemiwikiSkin, Sanctions 등 여러 미디어위키 확장을 자체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작업하는 소스코드들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이용 허락

페미위키 코드들은 기본적으로 "GNU Affero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3"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있지만, 간혹 불가피하게 다른 라이센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각 Repository 안에있는 LICENSE 파일을 참고해주세요.

AGPL-3.0은 미디어위키의 라이선스 정책인 "GPL-2.0 혹은 그 이상"과 호환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GNU FAQ를 참고해 주세요.

 


The source code of femiwiki/femiwiki is primarily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GNU Affero General Public License v3.0 or any later version. See COPYRIGHT for details.

docker-mediawiki's People

Contributors

choidamdam avatar dependabot[bot] avatar femiwiki-bot avatar github-actions[bot] avatar hanbitgaram avatar lens0021 avatar love-adela avatar minortriad avatar miriryu avatar paikwiki avatar revi avatar simnalamburt avatar suyooktang avatar

Stargazers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Watchers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avatar

docker-mediawiki's Issues

제재 절차 자동화

위키에 미리 작성한 글이 있습니다.

현재, 사용자 문서, 토론 문서, 특수:차단, 특수:이름바꾸기에서 나뉘어 이뤄지면서 진행 과정과 숫자 계산을 모두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제재 절차를 자동화하고 통일할 필요가 있습니다.

Notification 위젯을 Popup에서 Dialog로 교체

현재 Notification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mw.echo.ui.NotificationBadgeWidget이 PopupWidget을 사용하기 때문에 #81 과 같은 이슈가 발생하므로 다음과 같이 PopupWidget 대신 ProcessDialog을 사용하도록 수정합니다.
image

문서 공유하기 기능 개선

  • URL이 너무 길어서 페미위키 트위터 자동 봇이 하는 것처럼 goo.gl URL shorterner를 이용해 단축하면 좋겠습니다.
  • 다른 SNS도 추가되면 좋겠습니다.

위키 콘텐츠와 관련된 CSS는 서버 대신 미디어위키:common.css로 옮기기

(주제:Tufi4iiuqv84nd3r에서 이동)

예를 들면 틀:알림 상자를 위한 .notice나 틀:달력을 위한 .fw-calendar 같은 것을 말인데요, 전자는 www/skins/Femiwiki/resources/screen-common.less에, 후자는 screen-table.less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페미위키 콘텐츠와 관련된 것인데도 수정을 하려면 서버를 건드려야 한다는 점이 좋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페미위키 내 관리자 권한만 있어도 수정이 가능한 미디어위키:common.css 로 옮길 수 있도록 서버에서는 삭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구글 크롬 모바일 웹 앱 개선

  • 이름이 "App"이라고 되어 있는데 페미위키를 나타내는 이름으로 변경하면 좋겠습니다.
  • 웹앱에 색 설정이 가능한데 페미위키의 색을 설정하면 좋겠습니다.
  • 웹앱을 보통 전체화면을 많이 쓰니 페미위키 웹 앱도 전체화면으로 변경하면 좋겠습니다.

게시판 이름공간을 콘텐츠 이름공간이 아니도록 설정하기

콘텐츠 이름공간은 위키의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옵션으로, 현재 "게시판", "자유게시판", "가입인사게시판"이 모두 콘텐츠 이름공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특수:임의문서]], [[특수:짧은문서]] 등 특수문서들이 각 문서의 설계의도와 어긋나게 게시판 게시물들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이름공간이 아니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Vagrant를 Docker로 교체

현행 Vagrant 기반 배포 프로세스가 단일 개발자/머신만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아이디와 별도의 닉네임 지원

현재는 닉네임을 따로 지원하지 않고, 대신 한글 아이디가 설정이 가능하지만 처음 가입할 때는 이를 알기가 어려워 많은 사용자가 가입 직후 아이디를 변경하고 있습니다.

만일 아이디와 별도로 제공되는 닉네임 기능이 있다면 이 문제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위키에선 https://femiwiki.com/w/%EC%A3%BC%EC%A0%9C:Tsdf8zs84l2ro2l3 에서 이야기 나눈 적 있습니다.

문서가 간접적으로 속한 모든 분류를 보여주는 기능 추가하기

분류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각각을 차례로 A, B, C라고 이름 붙이면

  • 종류/탈것 ⊃ 종류/자동차 ∋ 종류/스포츠카

A→B, A→C, B→A, B→C, C→B 링크는 각 문서에 바로 존재하지만 C→A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페미위키 문서의 경우 CB링크는 "성격/여성주의 위키", "언어/한국어", "상태/운영중"이며, CA링크는 "성격/여성주의 위키", "주제/페미니즘", "성격/페미니즘", "성격/위키", "성격/웹사이트", "매체/인터넷", "언어/한국어", "상태/운영중"입니다(둘의 차이는 강조표시했습니다).

보시다시피 CA 링크를 모두 보여주는 것은 CB 링크만 보여주는 것에 비해 직관적이지 않아 기본적으로 모두 표시되게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본으로는 CB 링크만을 보여주되 펼치기나 더보기와 같은 느낌이 드는 버튼을 누르면 CA 링크가 추가로 표시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CategoryIntersectionSearch 확장기능의 검색 중 특정 분류 제외 기능

(주제:Txm2sy7jrto7mzvb에서 이동)

CategoryIntersectionSearch 확장기능을 이용한 검색에서, 검색어에 - 부호와 분류명을 적으면 검색 결과에서 해당 분류에 속하는 문서를 제외하는 기능입니다.

활용예는

  • 성격/인물에서 존재/가상을 제외하여 실존인물만 보기
  • 성향/페미니스트에서 국적/대한민국을 제외하여 (한국기준)외국 페미니스트만 보기
    등입니다.

커뮤니티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권한 그룹 합치기

현재 다음 사용자 권한 그룹이 있습니다.

  • Seeders
  • 사용자
  • 자동 인증된 사용자
  • 사무관
  • 플로 봇
  • oversight
  • 기록보호자
  • 관리자
  • restricted-sysop

위키 커뮤니티 내에서 각 권한에 특별한 구분이 없는데도 지나치게 권한 그룹이 많아서 혼동되는 면이 있어, 이중에서 사무관, 플로 봇*, oversight, 기록보호자, 관리자는 모두 합쳐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플로 봇 그룹을 만약 통합에서 제외한다면 flow-create-board 권한만 관리자 그룹에 추가하여도 좋겠습니다)

최근편집/원본보기 부분 수정

최근편집

- 최신/이전 부분 가독성 떨어짐 : 들여쓰기 필요, 줄 길이 줄이면 좋겠다.

2017-08-05 5 45 05

원본보기

- 윗부분(안내문구) 그레이 처리&글씨크기 작게하면 좋겠다.

2017-08-05 5 46 02

문서 역사 단축키가 사라짐

PC에서 Alt+Shith+H를 누르면 문서 역사로 가는 단축키가 #23 에서 사라졌습니다.

제가 실수한 것이며 복구되면 좋겠습니다.

인기있는 문서에 토론 문서 등이 들어갈 경우 링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

가가가 문서의 토론인 토론:가가가에 생성된 주제인 나나나가 인기있는 문서에 들어갈 경우 "가가가의 나나나"라는 없는 문서로의 링크가 생성됩니다.

우선 인기있는 문서에 토론이 올라가는 것 자체가 다소 취지에서 벗어난 것 같으므로 일반 문서가 아니면 인기있는 문서에는 올라가지 않도록 조정하면 좋겠습니다.

열고 닫는 목적의 토글 버튼들의 통일

  • 사이트 메뉴: 오른쪽, 三자 고유 버튼
  • 일반 문서 메뉴: 오른쪽 ••• 버튼
  • 최근 바뀜의 토글 버튼: 왼쪽, 회색 세모
  • 토론문서의 각 게시물 메뉴: 오른쪽 ••• 버튼
  • 분류 트리의 토글 버튼: 왼쪽, 파란 색 세모
  • 문서에서 사용되는 글 펼치기 숨기기 버튼: 오른쪽, 텍스트

자리를 우선으로 하여 오른쪽으로 옮기고, 모양을 두 번째 우선으로 하여 가능한 만큼만 통일하면 좋겠습니다.

Mathjax 클래스로 표시된 수학식의 스타일 구분

온라인 도움말을 보면 Tex에서 수학식을 입력할 때 \displaystyle라는 명령어로 수학식을 좀 더 돋보이게 하는 기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그 기능이 MathJax와 simpleMathjax확장기능을 거쳐 위키로 넘어오면서 어느샌가 사라진 것 같습니다. 막 사라진 건 아니고 설명서로 추측하건데 displaystyle이 기본값이 되고 입력을 다르게 하면 inlineMath라는 이름으로 displaystyle이 아니게 처리하게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학식을 다루는 거의 모든 미디어위키 엔진 위키는 그냥 이런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그냥 사용자가 알아서 적당히 줄을 바꾸고 왼쪽에 여백을 주는 것으로 편집 관습이 굳어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을

  1. displaystyle으로 보이려고 한 것 같은 Mathjax만 적당히 감지하여 처리하기
  2. 혹은 inlineMath 문법을 지원하기

두 가지 중 하나를 하면 좋겠습니다. 일단 현재 페미위키에 수학 문서에 가장 많이 기여하시는 분에게만 말씀 드려서 원하는 대로 수정을 해봐도 괜찮다는 허락을 구했습니다.(https://femiwiki.com/w/%EC%A3%BC%EC%A0%9C:Tuela11rmnt9de6v)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2번보다 1번이 수학식 입력 문법에 변하는 점이 적고 기존 문법과도 호환이 되어서 1번으로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하여튼 개선이 되면 좋겠습니다.

마이너 가독성 개선

  • 맥으로 접속하면 시스템 기본 폰트가 보여지도록
    • 숫자와 영문은 UI에 최적화한 샌프란시스코가 보여지도록합니다. 단, 사용자가 일부러 OS기본 폰트를 바꾼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폰트가 보여지도록 합니다.
  • 너무 작은 크기의 폰트 키우기
    • 12px, 13px의 폰트는 본문 대비 크기가 작아 잘 읽히지 않으며 링크일때는 누르기도 어렵습니다. 크기를 키워 개선합니다.
  • 본문 폰트 크기 키우기
    • 본문 폰트 17px은 웹용 문서에 다소 작은 사이즈입니다. 크게는 23px까지도 쓰지만, 기존 유저의 괴리감을 고려해 19px로 키웁니다.
  • 본문 글줄 너비 줄이기
    • 현재 한 글줄에 약 50자가 들어갑니다. 인쇄시 글줄을 생각해보면 두배 가까운 길이이며, 웹 환경을 고려해도 깁니다. 글줄 너비를 줄여 눈의 피로를 줄입니다.
  • 줄간격 약간 줄이기
    • 현재 줄간격이 1.9em으로 꽤 높습니다. 적당한 줄간격은 쾌적함을 제공하지만 글자 크기의 두배에 가까워 문단이 묶이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1.5-1.7em 정도로 줄입니다.
  • 헤딩 텍스트 볼드로 변경
    • 헤드라인과 본문 모두 자족 400이 쓰여 문서에 강약이 부족합니다. 헤드라인을 700으로 설정해 리듬감을 만듭니다.

문서나 문단 제목이 길 경우 URL도 길어져 공유가 어려운 문제

트위터(링크생략)에서 보고되었습니다.

문서 제목이 길 경우(예: 6.25전쟁 참전 육군 의용군 참전자 명단)에는 그나마 메뉴에서 공유하기 - URL 복사를 선택하면 짧은 URL을 얻을 수 있는 것에 반해, 문단 제목이 길 경우 (예: 페미위키:연습장의 김 수한무… 문단)에는 딱히 줄일 방법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트위터에서 페미위키 링크를 공유할 때, URL의 글자수가 글자수 제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웹 트위터와 트윗덱에서는 트윗이 가능하지만, 영향을 주는 공식앱(iOS/안드로이드 공통)에서는 공유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꼭 트위터가 아니어도 너무 길면 불편한 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류가 존재하는 검색어를 검색시 분류문서로 이동하는 문제

#19 이후 발생한 것 같으며 당초 의도는 "성격/페미니즘"과 같이

  1. 슬러시가 있고,
  2. 이름이 ("분류:"+검색어)인 문서가 존재할 경우

에만 해당 분류 문서로 이동하는 것이었는데 1번 조건이 누락된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숨은 분류"라고 검색하면 바로 "분류:숨은 분류"로 이동해버립니다.

레이블 개선

  • "편집" 과 "원본 편집"
    • 이 둘을 눌러보기 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둘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레이블이 필요합니다.
  • "주시"와 "주시 해제", "주시 문서 목록"
    • 익숙하지 않은 한자어인 "주시"보다는 "관심" 같이 UI에 익숙한 레이블이 좋을 것 같습니다.
  • "행위"와 "도구"
    • 행위는 Action의, 도구는 tool의 번역어로 보입니다. 둘 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카테고리 상의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워 좀더 분명한 레이블이 필요합니다. 이 부분은 타이틀이 아예 없이 UX적으로 기능 구성을 수정하는게 좋아보이기도 합니다.
  • "보호", "보호 확인", "보호 설정" 등
    • 레이블로써 익숙하지 않은 단어라 무엇을 뜻하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레이블로 수정합니다.
  • 문서의 편집이나 보호 모드로 들어갔을때 나오는 "보기"
    • 다시 문서로 돌아가는 기능으로 추정합니다. 그렇다면 "문서로 되돌아가기" 혹은 "문서 보기" 등으로 수정하면 좋겠습니다. 레이블의 위치도 좌측 상단으로 옮기면 좋겠습니다.
  • 빈 문서에 나오는 "생성"과 "만들기"
    • 한 페이지 내에 같은 의미로 다른 단어가 쓰이고 있습니다. 하나로 통일합니다.
  • "인쇄용 판"
    • 번역투의 레이블입니다. 순화하면 좋겠습니다.
  • "다면 분류 목록"
    • 레이블만 봐서는 어떤 의미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 "보여줄 제목"
    • 보여줄 제목 외에 숨겨진 제목 등 다른 용도의 제목이 없다면 그냥 "제목"이라고 표시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가리키는 글의 바뀜"
    • 전반적으로 "글"의 의미로 "문서"를 사용하고 있고 "바뀜"이 마치 바꾸는 행위를 지칭하는 듯해서 "가리키는 문서 변경 이력" 등으로 수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Recommend Projects

  • React photo React

    A declarative, efficient, and flexible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 Vue.js photo Vue.js

    🖖 Vue.js is a progressive, incrementally-adoptable JavaScript framework for building UI on the web.

  • Typescript photo Typescript

    TypeScript is a superset of JavaScript that compiles to clean JavaScript output.

  • TensorFlow photo TensorFlow

    An Open Source Machine Learning Framework for Everyone

  • Django photo 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 D3 photo D3

    Bring data to life with SVG, Canvas and HTML. 📊📈🎉

Recommend Topics

  • javascript

    JavaScript (JS) is a lightweight interpreted programming language with first-class functions.

  • web

    Some thing interesting about web. New door for the world.

  • server

    A server is a program made to process requests and deliver data to clients.

  •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 way of modeling and interpreting data that allows a piece of software to respond intelligently.

  • Game

    Some thing interesting about game, make everyone happy.

Recommend Org

  • Facebook photo Facebook

    We are working to build community through open source technology. NB: members must have two-factor auth.

  • Microsoft photo Microsoft

    Open source projects and samples from Microsoft.

  • Google photo Google

    Google ❤️ Open Source for everyone.

  • D3 photo D3

    Data-Driven Documents codes.